요즘 시간이 나면 보는 책인데
어렵긴 하나 재미는 있다.
정치철학에 대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.
하지만 지금 읽고 있는 부분에 대해 궁금한 것이 생겼다.
미군 모집에 관하여 자유주의, 공리주의 등 여러관점을 서로 비교 반박하며 정의를 논하는 부분이 있다.
하지만 여기서 그 정의를 판단하는 중심을 미군 모집의 방법(자발적, 징병, 대리제.. 등)에 따라 살펴보는데, 내가 생각할 때는 이런 비교는 정치철학의 범위는 국가안에 귀속되는가?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.
왜냐하면 군대를 만든다는 것이 미군의 예로 볼 때 방어보다는 공격을 위주로 할 텐데. 그럼 타국 혹은 타인을 공격하기 위해 어떤 모집행위를 하든 그것은 이미 정의에서 벗어난 것 아니겠는가? 생명을 놓고, 도덕성을 따지는데 그 범위 설정이 잘 못 된것이 아닌가? 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.
어렵긴 하나 재미는 있다.
정치철학에 대해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.
하지만 지금 읽고 있는 부분에 대해 궁금한 것이 생겼다.
미군 모집에 관하여 자유주의, 공리주의 등 여러관점을 서로 비교 반박하며 정의를 논하는 부분이 있다.
하지만 여기서 그 정의를 판단하는 중심을 미군 모집의 방법(자발적, 징병, 대리제.. 등)에 따라 살펴보는데, 내가 생각할 때는 이런 비교는 정치철학의 범위는 국가안에 귀속되는가?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.
왜냐하면 군대를 만든다는 것이 미군의 예로 볼 때 방어보다는 공격을 위주로 할 텐데. 그럼 타국 혹은 타인을 공격하기 위해 어떤 모집행위를 하든 그것은 이미 정의에서 벗어난 것 아니겠는가? 생명을 놓고, 도덕성을 따지는데 그 범위 설정이 잘 못 된것이 아닌가? 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.